작성에 앞서 중점적으로 외워야 하는 부분은 빨간색 글자로 표기하도록 하겠습니다.
인지적 상담이론 이란?
인지적 상담이론이란 상담 및 상담 심리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한 가지 이론적 접근 방식입니다. 이 이론은 개인의 사고, 인식, 지각, 기억 및 학습과정에 중점을 둡니다. 주요 목표는 개인이 자신의 생각 및 인식을 이해하고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고, 자기 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중점을 둡니다. 이는 상담 과정에서 개인의 내적 자원을 발견하고 활용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유용한 접근 방법입니다.
이론의 핵심 개념 중 하나는 개인의 사고와 인식이 그들의 감정과 행동을 결정한다는 것입니다. 상담자는 개인의 부정적인 사고 패턴이나 심리적 제약을 파악하고 이를 긍정적인 변화로 이끌어내는 데 도움을 주어야 합니다.
인지적 상담은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개인의 사고 및 인식을 조사하고 개선합니다.
1. 자기-관찰 : 개인은 자신의 사고와 행동을 관찰하고 이해합니다.
2. 자기-평가 : 개인은 자신의 사고 및 행동 패턴을 평가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목표를 설정합니다.
3. 인식의 왜곡 극복 : 부정적인 사고 패턴이나 인식의 왜곡을 극복하고 더 건강한 사고 방식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.
4. 문제해결 : 문제 해결 기술을 통해 개인은 자신의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.
5. 자기 효능감 강화 : 개인은 자신의 능력을 높이고 자신감을 회복하는 데 도움을 받습니다.
인지적 상담이론에서 설명하는 인지적 오류가 있습니다.
- 선택적 주의 : 수많은 정보 중에서 본인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보를 선택하는 여과과정을 말한다.
- 흑백논리(이분법적 사고) : 모든 경험을 한두 개의 범주로만 이해하고 중간지대가 없이 흑백논리로써 현실을 파악한다. (예. 100% 완벽하게 일을 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하지 않은 것이거나 실패한 것이다.)
- 과잉일반화 : 한두 가지의 고립된 사건에 근거해서 일반적인 결론을 내리고 그것을 서로 관계없는 상황에 적용한다.(예. 영어시험을 망쳤으니 이번 시험을 완전히 다 망칠 것이라는 결론을 내리는 경우)
- 개인화 : 자신과 관련시킬 근거가 없는 외부사건을 자신과 관련시키는 성향으로서, 실제로는 다른 것 때문에 생긴 일에 대해 자신이 원인이고 자신이 책임져야 할 것으로 받아들인다.(예. 친구가 오늘 기분이 나쁜 것이 내게 화가 나있기 때문인 것으로 간주하는 경우)
'고급직업상담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고급직업상담학] 직업상담사의 역할이란? (0) | 2024.03.21 |
---|---|
[고급직업상담학] 6개의 생각하는 모자 (six thinking hats) (0) | 2024.03.11 |
[고급직업상담학] 행동주의 상담기법 (0) | 2024.03.11 |
[고급직업상담학] 직면이란? (0) | 2024.03.08 |
[고급직업상담학] 생애진로사정의 구조 (0) | 2024.03.06 |